MZ세대의 요즘 트렌드 (무지출챌린지, 짠테크 열풍, 출판업계의 레트로 표지, 스몰 브랜드)

    MZ세대의 요즘 트렌드 (무지출챌린지, 짠테크 열풍, 출판업계의 레트로 표지, 스몰 브랜드) 

    MZ세대의 특징

    1) 경험을 중시한다.
    2) 사회적 가치 혹은 특별한 메시지를 담은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신념과 개성을 표출한다. (미닝아웃)
    3) 남들과 똑같은 것이 아닌 이색적인 것을 추구한다. (가치소비 중시)

    MZ세대의 요즘 트렌드

    1. 무지출챌린지

    지난 몇 년간 MZ세대 사이에서 현재의 행복을 중요시하는 '욜로' 트렌드가 확산되었다면, 이제는 무(無)지출 챌린지'가 유행하고 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각종 식재료, 외식 물가가 오르면서 SNS를 통해 절약 꿀팁 등의 콘텐츠가 늘어나고 이를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MZ세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 MZ세대의 짠테크 열풍

    MZ세대의 무지출챌린지 유행에 이어 '짠테크'에 관심이 많아지며 어린이 보험에 가입하는 MZ세대가 늘어나고 있다. 어린이 보험의 경우 과거에는 가입 대상이 미성년자 제한돼 있었으나 2018년 무렵부터는 각 보험사의 어린이보험 가입연령이 만 30세 안팎으로 올라가며 일부 성인도 가입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어린이 보험은 MZ세대의 '짠테크' 열풍과 맞물려 인기를 끌고 있으며 보험사 측에서도 저마다 차별화된 어린이 보험 상품을 내놓고 있다. 

     

    3. 출판 업계의 레트로 표지 열풍

    1990~2000년대 추억을 자극하는 마케팅을 진행하는 출판업계가 늘어나고 있다. 1998년 출시된 포켓몬빵, 배꼽티에 골반까지 내려오는 바지를 배치한 'Y2K'패션까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유행했던 아이템들이 다시 각광받고 있다. 이는 당시의 어린이 소비자들이 현재 구매력을 갖춘 어른이 된 것에 더해 '레트로한 것'에서 매력을 찾는 1020세대가 가세하면서다.

    제작사 아울은 최근 펀딩 사이트 텀블벅에 1990년대 유행했던 '공포특급'을 내놓았고, 김영사는 존 더글라스의 회고록 '마인드 헌터'에 1999년 출간 당시 표지를 입힌 '마음의 사냥꾼' 리커버 한정판을 출간했다. 뿐만 아니라 1982년부터 1997년까지 출간됐던 계몽사의 디즈니 그림 명작 시리즈 역시 옛 모습을 그대로 살린 복각본이 2019년 재출간됐다. 

     

    4. 스몰 브랜드가 뜬다!

    최근 패션업계에서 제품력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브랜드 정체성과 제품을 선보이는 '스몰 브랜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트렌드에 민감한 소수의 사람이 주로 선택했던 스몰 브랜드들은 이제 많은 이들이 선택하고 있다. 일례로 신세계그룹의 여성 패션 플랫폼 W컨셉은 차별화된 상품을 소개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갖추며 신진 브랜드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스몰 브랜드 시장의 성장을 이끈 주역은 MZ세대다. 남과 다른 나만의 것,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MZ세대 고객들은 누구나 다 아는 대형 브랜드보다는 나에게 맞는 제품의 브랜드를 선호하며, 대중적인 브랜드가 아니더라도 브랜드 철학, 브랜드 스토리와 진정성에 반응하여 소비한다. 스몰 브랜드가 주목받으며 시장에서 고객의 선택 폭은 더욱 넓어졌고, 플랫폼들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 해당 콘텐츠는 매일 발행되는 마케팅 트렌드 및 이슈 중
    마케터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선정하여 요약&정리한 글입니다.


    ☑ 오늘의 추천 Note

    2022년 에미상 후보에 오른 6개의 광고가 궁금하다면 읽어보세요.

     

    [해외 크리에이티브] 2022년 에미상 후보에 오른 광고 - 매드타임스(MADTimes)

    [ 매드타임스 최승은 기자] 6개의 광고가 뛰어난 광고로 에미상 후보에 올랐다.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Academy of Television Arts and Sciences)는 1997년부터 매년 뛰어난 상업 광고를 선정해왔다.

    www.madtimes.org

     

    댓글

    마케팅의 모든 것 by 피아노치는 마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