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트렌드. 2023 트렌드 코리아 10가지 키워드 요약

    마케팅 트렌드. 2023 트렌드 코리아 10가지 키워드 요약 

    2023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

    1. 평균 실종

    평균, 기준이 무너지고 중간이 사라지는 시대

    평균 실종은 평균의 기준이 무너지고 중간이 사라지는 시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평균값'이 무의미해지는 이유는 양극단으로 몰리는 '양극화', 개별값이 산재하는 'N극화', 한쪽으로 쏠리는 '단극화'로 구분할 수 있다.

    평균으로 표현되는 보통 의견, 평범한 삶, 정상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대체 불가능한 탁월함, 차별화, 다양성이 필요한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2. 오피스 빅뱅

    일을 둘러싼 모든 것이 바뀐 시대

    일을 둘러싼 변화가 '빅뱅'처럼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특히 가장 주목할 현상은 퇴직 열풍이다. 팬데믹 시기에 경험한 재택근무로 원격근무 지원, 거점 오피스 제공, 워케이션 기회 마련 등의 물리적 공간의 변화도 작지 않다. 

    뿐만 아니라 회사를 나와 자신만의 일에 도전하는 사람, 회사에 다니면서도 부업을 통해 추가적인 부수입 획득, 새로운 커리어 도전을 하는 사람이 늘고있다. 

     

    3. 체리슈머

    현대판 보릿고개 시대에 나타난 똑똑한 소비자들

    구매는 하지 않고, 실속만 챙겨가는 소비자를 일컫는 '체리피커'에서 파생된 단어로 체리피커와는 다르게 공동구매, 필요한 만큼한 소분하여 사는 등 최대한 현명하게 소비를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고물가 시대 현대판 보릿고개를 현명하게 넘고자 하는 합리적인 소비자를 의미한다. 

    체리슈머는 필요한 만큼만 딱 맞춰 구매한느 '조각 전략'으로 실속을 챙기며, 함께 모여 구매하는 '반반 전략'으로 절약을 실행한다. 그리고 '말랑 전략'으로 언제든 해지할 수 있는 유연한 계약을 찾으며 리스크를 줄인다.

     

    4. 인덱스 관계

    여러 인덱스(색인)을 붙여 관리되는 인간관계

    지금은 직접 만나서 얼굴을 보며 친해지는 시대가 아닌,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불특정 다수와 소통하는 시대이다. 소통의 매체가 변화하며 관계 맺는 것의 본질도 목적 기반으로 형성되 수많은 인간관계에서 각종 색인(index)을 떼었다 붙였다 하는 '관계 관리'에 가깝다.

    친하다, 안친하다의 이분법이 아닌 인친, 페친, 트친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한 관계의 범위가 넓어지며 관계를 여러 색인으로 분류하고 정리한다. 

     

    5. 뉴 디맨드 전략

    불황에도 사람들의 지갑을 열게 하는 전략

    불경기에도 새로운 경험에 소비자는 지갑을 연다. 비슷한 제품, 서비스 과잉의 시대라도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도록 만드는 수요 창출 전략을 '뉴디맨드(new demand) 전략'이라고 칭한다. 

    6. 디깅모멘텀

    한 분야에 빠진 '덕후'들이 세상을 바꾼다!

    한 분야에 빠져 그것만 파는(=디깅하는) 'OO에 진심인 사람', 'OO 과몰입러'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자신의 취향에 맞는 한 분야를 깊이 파고드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트렌드를 '디깅모멘텀'이라고 한다.

    디깅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아지며, 디깅러들을 공략한 신상품을 출시하거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도 많이 보인다. 디깅모멘텀의 핵심은 결국 성장이기에 자기 성장이라는 큰 목표 아래 일상과 적절하게 조화시킬 수 있을 때 '디깅'을 통해 삶의 활력을 찾고 풍요로운 삶을 즐길 수 있는 '모멘텀'이 될 것이다. 

     

    7. 알파세대가 온다

    순도 100%, 진정한 '디지털 원주민' 세대의 등장

    알파세대는 2010년 이후에 태어나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성장하며, 코로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자라고 있다. 이들은 소셜미디어에 익숙하며, '자본주의 키즈'의 후예답게 소비와 투자를 아우르는 경제 교육을 적극적으로 받고 있다.  

    편리한 디지털 환경에서 풍족하게 자라는 것처럼 보이지만 디지털 격차로 일컬어지는 양극화가 심해지며 이들의 행복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8. 선제적 대응기술

    이제는 기술도 '알잘딱깔센'

    지금까지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이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맞춰 조작해야 했다. 그러나 이제는 기술이 우리에게 필요한 기능을 스스로 파악해 미리 제공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고객의 사용 흐름을 읽어 고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 고객이 필요를 깨닫기 전에 먼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을 '선제적 대응 기술'이라고 부른다. 선제적 대응기술은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며 사회적 약자를 돕고, 사고 예방 차원에도 아주 중요한 기술이다.

     

    9. 공간력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공간의 힘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온라인이 절대 대체할 수 없는 오프라인 공간이 가지는 힘이 점점 부각되었다. 오프라인 공간은 단순히 물건을 전시하고 파는 곳일 뿐만 아니라 그 공간 자체로 고객에게 비일상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효율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다.

    공간력은 매력적인 컨셉과 테마를 갖춘 공간만이 가질 수 있는 영향력으로 뉴디맨드 전략처럼 특별하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독보적 매력과 개성을 가진 곳에 소비자가 몰릴 것이다. 

     

    10. 네버랜드 신드롬

    어른이 되고 싶지 않아요!

    네버랜드 신드롬은 포켓몬빵이나 레고 등의 아이템을 구매하는 등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것과 외모를 유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승진을 마다하면서까지 현 상태에서 더 나이 들지 않으려 하며, 아이들처럼 쉽고 재밌게 노는 것을 좋아하는 3가지의 유형으로 나뉜다. 

    청년의 순수함과 열정, 어른의 지혜를 함께 갖출 수 있을 때 우리 개개인과 사회가 진정한 성숙이 가능할 것이다.

     

     

    (출처 : 오픈애즈, 한눈에 보는 <트렌드 코리아 2023>)

     

     

    ※ 해당 콘텐츠는 매일 발행되는 마케팅 트렌드 및 이슈 중
    마케터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선정하여 요약&정리한 글입니다.


    ☑ 오늘의 추천 Note

    일이 되게하는 사람 vs. 안되게하는 사람의 특징

     

    일이 되게하는 사람 vs. 안 되게하는 사람👥

    성장 마인드셋과 부정 마인드셋 스탠 퍼드대 심리학 교수인 캐럴 드웩Carol Dweck은 『마인드셋Mindset』에서 인간의 기본 능력과 재능을 고정된 기질로 보느냐,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기

    www.aha-contents.com

    댓글

    마케팅의 모든 것 by 피아노치는 마케터